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운동47

마이오스타틴(Myostatin)과 근육량의 관계 우리는 열심히 트레이닝을 하고, 점점 더 나은 수행능력을 가지게 되는데 도대체 근육의 성장은 왜이렇게 더딘걸까요? 근육량은 정말 늘지 않는데, 지방은 너무나도 쉽게 늘어나면서 말이죠. 이러한 문제들은 바로 마이오스타틴(Myostatin)이라 불리는 성분 때문에 그렇다고 합니다. 그럼 도대체 이 마이오스타틴이라는 성분은 어떤 성분일까요? 마이오스타틴(Myostatin)이란? 마이오스타틴은 근육(Myo) + 억제(Statin)의 의미를 가진 합성어로, 우리 몸의 근육합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 몸은 왜 근육 생성을 억제하려고 할까요? 해답은 단순합니다. 근육이 늘어나면 날수록 인대, 건과 같은 결합조직이 늘어난 근육량을 버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적당한 몸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마이오스타틴은 그 역.. 2017. 11. 26.
고관절 소리 원인과 해결 어깨 충돌 증후군과 비슷하게 고관절 충돌로 인하여 소리가 나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고통을 동반하기도 하며, 이는 계속 놔뒀다가는 나중에 필히 수술대에 올라가게 되죠. 고관절은 자유롭게 떨어져 있는 어깨와는 다르게 소캣에 관절이 들어가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수술하기가 더 까다로운 것이 사실입니다. 고관절에서 일단 소리가 난다면 좋은 신호는 아닙니다. 분명히 태어났을때, 아주 어렸을 때에는 소리가 나지 않았을 거거든요. 소리가 나기 시작했다면, 나중에는 통증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므로 큰 일이 생기기 전에 제자리로 잡아주고 유지해야겠죠? 고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중 대표적인 케이스가 바로 '대퇴 전방활주 증후군'입니다. 고관절이 정상적인 굴곡을 하지 못하고 그에 대한 보상작용으로 고관절이 내전.. 2017. 11. 22.
웨이트 초보자가 해야할 일 헬스장에서 운동을 하다보면 다양한 사람들을 보게 됩니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는건지 관절파괴술을 시전하는건지 모를 동작으로 하시는분부터 자극이 올 수 없는 잘못된 자세로 운동을 열심히 하시는 분까지 잘못된 운동방법을 지적하라그러면 한도끝도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꾸준히 특정 부위에 타격을 가하므로 만약 그 타격부위가 근육이 아니라 관절이라면 처음엔 모르다가 점점 상태가 나빠져 관절이 상하는 것은 기본이고 추가로 운동을 당분간 혹은 아주 오랫동안 할 수 없는 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건강해지려고 했다가 오히려 더 큰 데미지를 입고서는 운동의욕까지 완전히 꺾이는 최악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죠. 그렇다면 웨이트 트레이닝에서 초보자는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할까요? 그것은 바로 제대.. 2017. 11. 21.
식욕 조절을 못하는게 의지 문제가 아니었다? 운동강도와 식욕의 관계 살을 빼려고 다이어트를 하다보면 넘치는 식욕을 주체하지 못하여 폭식을 하게되거나, 식단 조절에 실패하여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경우가 매우 흔합니다. 그런데 이것을 단순히 '의지' 문제로만 치부할 수 는 없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단, 운동을 하지 않으시는 분에게는 전혀 해당사항이 없는 연구로 운동을 하면서 식욕때문에 다이어트에 실패한 경험이 있으신 분들만 이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운동강도와 식욕의 상관관계 여러분은 다이어트를 위해서 운동을 하실 때 어느정도의 강도로 실시하시나요? 짧은 시간 강하게 혹은 보통강도로 혹은 낮은 강도로 길게의 선택지에서 제가 가장 선호하는 것은 짧은 시간 강하게 운동하는 것입니다. 각각의 방법으로 같은 칼로리를 소모하였을 때 소요된 시간은 짧음.. 2017. 11.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