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재활 & 교정

익상견갑 원인과 교정

by sick남 2017. 11. 9.
반응형

익상견갑은 생각보다 흔히 겪을 수 있는 증후군으로, 똑바로 서있을 때 견갑이 뒤로 튀어나와 날개처럼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익상견갑은 양쪽 견갑이 다 튀어나와있을 수도, 한쪽만 불균형 하게 튀어나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양쪽이 대칭이라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한 쪽만 불균형하게 튀어나와 있다면 불균형으로 인한 증상이 초래될 것이기에 더 심해지기 전에 당장 치료를 요합니다.


익상견갑이 단순히 전거근만의 문제는 아닐 수 있기 때문에 이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지금부터 익상견갑의 원인과 그 증상 그리고 교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익상견갑의 원인 


익상견갑은 3가지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1) 전거근의 위약


전거근의 위약은 익상견갑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입니다. 전거근 약화로 인한 익상견갑은 튀어 나온 견갑이 척추에 가까워진 형태가 됩니다. 전거근의 길항근인 상완이두근의 경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만 있습니다.


2) 능형근의 위약


능형근 약화로 인한 익상 견갑은 튀어 나온 견갑이 척추와 멀어지는 형태가 됩니다.


3) 승모근의 위약


승모근 약화로 인한 익상 견갑은 익상견갑 티가 날 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견갑의 아래 쪽이 튀어 나와 두드러져 보이는 형태가 됩니다. 또한 한 쪽에만 익상견갑이 생겼을 경우 반대 쪽에 비해서 어깨가 쳐져있을 것입니다.




익상견갑의 교정

위에 언급한 3가지 근육의 위약으로 익상견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육의 위약이 신경 마비로 인한 것인지 일상생활 습관으로 인한 것인지는 의사의 진단이 필히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교정을 위한 운동을 하기 전에 근전도검사 등의 진단을 정확히 받으신 후에 교정 방향을 잡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히 근육의 약화나 경직으로 인하여 익상견갑이 발생하였다면 교정이 어려운 편이 아닙니다. 


1) 전거근의 위약

전거근 약화로 인한 경우에는 전거근 강화 운동을 해주면 됩니다. 대표적인 운동으로는 푸쉬업 플러스가 있습니다. 전거근은 몸을 끝까지 밀어낼 때 힘을 쓰므로 푸쉬업 시작자세에서 몸을 더 밀어주는 것이 전거근 강화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어깨가 좋지 않아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 폼롤러에 누워서 공중에서 푸쉬업 플러스를 시행하면 됩니다. 혹은 헬스장에 업도미널 머신이 있다면 이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됩니다.

2) 능형근의 위약


능형근 약화로 인한 경우 에는 팔꿈치를 몸 뒤로 가게 당기는 거의 모든 동작이 이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입니다. 또한 목 주변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에도 능형근 스트레칭이 도움이 됩니다.

3) 승모근의 위약


승모근 약화의 경우 능형근과 운동 방식이 동일합니다. 당기는 동작이 등 전체적인 부분을 강화시켜 주기 때문에 당기는 운동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후면사슬을 함께 발달시킬 수 있는 벤트 오버 바벨 로우를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편입니다.


언급된 내용과 관련 내용을 잘 숙지하신 뒤 적용하시고 익상견갑 케어 잘 하셔서 고통에서 해방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